[소프트웨어공학] NS(Nassi-Schneiderman) 차트 NS(나씨 슈나이더만) 차트 모듈 명세서를 글로 쓸수도 있지만 N-S차트로 그림으로 그릴 수 있다. 플로우차트는 생각보다는 사용횟수가 많지 않다. 손으로 그리기가 까다롭기 때문이다. 이에 비해 NS차트는 더 쉽게 그릴 수 있어 생각을 더 쉽게 정리할 수 있다. 물론 NS차트만으로 모든것이 해결되는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정해진 일을 정해진 방법으로 하도록 컴퓨터에 명령을 내리는 것이다. 컴퓨터는 정해진 일과 정해진 방법이 무엇인지 알수 없다. 왜냐하면 기계니까 따라서 우리는 두 가지 관점에서 프로그램을 만들어 갈 수 있다. 1. 무엇을 해야 하는지 생각해보기 컴퓨터에게 시킬일이 무엇이며 어떤 결과를 받아 보고 싶은지 정리 2. 어떻게 해야 하는지 생각해보기 사용자로부터 입력이 되는것과 입력없이 알 수 있는것들 가지고 어떤 처리를 어떤 순서로 진행해서 결과를 만들지 NS차트는 어떻게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지를 정리해 볼 수 있는 도구이다. NS차트 구성요소는 처리, 반복, 분기의 일반적인 프로그래밍 언어의 구성요소를 표현할 수 있다. 먼저 순차처리 네모 박스에 입력, 출력, 연산을 기록한다. 선택구조는 IF문이나 CASE문을 사용하여 처리 흐름을 기록한다. 반복구조는 While문이나 For문을 사용하여 조건에 따른 반복처리를 기술한다. 1에서 100까지 합을 구하는 ns차트 NS차트의 특징 논리의 기술에 중점을 둔 도형을 이용한 표현 방법이다. 그리기가 어렵다.(전문성이 있어야 잘 그린다) 순차, 선택, 반복으로 표현한다. 임의의 제어 이동이 어렵다. goto구조가 어렵다. 그래픽 설계 도구이다. 상자 도표라고도 한다 프로그램으로 구현이 쉽다. 조건이 복합되어 있는 곳의 처리를 명확히 식별하기에 적합하다. if문이 여러개일 때 가능 ...
[컴퓨터네트워크] Telnet이란? 원격 접속 서비스로서 특정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컴퓨터에 연결하여 그 컴퓨터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 표준 프로토콜 Telnet(텔넷)을 이용하면 네트워크에 있는 컴퓨터를 자신의 컴퓨터처럼 파일 전송, 파일 생성, 디렉토리 생성 등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단, 보안문제로 사용률이 감소하고 원격 제어를 위해 SSH로 대체되는 추세 Telnet 보안 Telnet 세션은 암호화 및 무결성 검사를 지원하지 않는다. 패스워드가 암호화되어 있지 않아 스니퍼를 이용하여 제3자에게 노출 될 수 있다. UNIX 시스템에서 해커가 in.telnetd를 수정하여 클라이언트의 특정 터미널 종류에 대해 인증과정 없이 쉘을 부여할 수 있다. 그럼 텔넷과 SSH의 차이점은? 사용자가 쓰기에는 텔넷과 SSH는 차이점이 없습니다. 단지 차이점은 로그인, 프로그램 실행, 하드디스크 체크, 로그아웃 등 작업들을 하기 위해 사용자와 서버간의 통신 방법의 차이입니다. 사용자가 어떤 작업을 서버에 알려주기 위해 네트워크를 통해서 서버에 TCP/IP패킷정보를 전달하고 결과값을 다시 서버에서 받게 됩니다. 여기서 텔넷은 정보를 byte스트림형식으로 주고 받고, ssh는 DES, RSA 등 고급 암호화를 통해 통신을 합니다. 그러므로 텔넷 환경에서는 정보노출 위험이 큽니다. SSH는 암호화 뿐만 아니라 압축 기술도 사용하는데, 암호화 때문에 트래픽이 텔넷보다 크게 늘어나지 않습니다. 단지 약간의 부하가 더 생길수도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정보가 누출될 수 있는 텔넷보다는 어느정도 정보의 안정성을 책임질 수 있는 SSH를 많이 사용합니다. 출처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ahnsh09&logNo=40171391492&proxyReferer=https%3A%2F%2Fwww.g...
[컴퓨터네트워크] BCD코드, EBCDIC코드,Excees-3 코드, ASCll코드 BCD 코드(Binary Coded Decimal) BCD코드란 2진수는 컴퓨터 같은 디지털 시스템에는 좋지만 그것을 사용하는 사용자(사람)에게는 매우 불편하기 때문에 2진수를 사람들이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10진수의 형태로 창안한것이 바로 BCD코드 특징을 살펴보면 십진수의 각 자리수에 대응되는 4개의 비트를 사용하여 표현 각 4개의 비트의 범위는 0000 ~ 1001 1010 ~ 1111은 사용되지 않음 2진화 10진 코드라고 부릅니다. 말 그대로 10진수를 이진코드로 표기한 것입니다. 6비트로 한 문자를 표현합니다. 영문 소문자를 표현하지 못합니다. 맨 앞 1비트를 Parity Bit로 추가하여 7비트로 사용 Parity Bit(1) + Zone Bits(2) + Digit Bits(4)로 구성 Digit Bits는 각 비트가 8, 4, 2, 1의 값을 의미합니다. 8421 코드라고도 부릅니다. EBCDIC 코드(Extended BCD Interchange Code) BCD코드를 확장한 코드입니다. 확장 2진화 10진 코드라 부릅니다. 8비트로 256가지 문자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맨 앞의 1비트를 Parity Bit로 추가하여 9비트로 사용 Parity Bit(1) + Zone Bits(4) + Digit Bits(4)로 구성 Excess-3 코드 BCD코드에 3을 더하는 코드입니다. 모든 비트가 동시에 0일 때가 없습니다. 6진수로 BCD 코드를 표현한 후에 3을 더한 것이 Excess-3코드입니다. 자기 보수 코드입니다. 자기 보수 코드 1->0, 0->1로 바꾸었을 때 10진수의 9의 보수를 얻을 수 있는 코드를 말합니다. 10진수에서 9의 보수는 자신과 더해서 9 혹은 99, 999, ... 가 나오는 수를 말합니다. 예) 10진...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