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체제] 파일의 구조(순차 파일, 직접 파일, 색인 순차 파일) 파일의 구조는 파일을 구성하는 레코드들이 보조기억자치에 편성되는 방식 을 의미함 편성방식에 따라 순차 파일, 색인 순차 파일, 랜덤 파일, 분할파일이 있다. 파일 편성방법에 따라 파일 접근 방법을 분류할 수 있으므로 파일 접근 방법 이라고도 한다. 순차 파일(Sequential File, 순서 파일) 순차 파일은 레코드를 논리적인 처리 순서에 따라 연속된 물리적 공간으로 기록하는 것을 의미한다. 급여 업무처럼 전체 자료를 처리 대상으로 일괄 처리하는 업무에 사용된다. 대화식 처리보다 일괄 처리에 적합한 구조이다. 장점 파일의 구성이 용이하고, 순차적으로 읽을 수 있으므로 기억공간의 이용 효율이 높다 레코드만 저장하고 북합적인 정보는 저장하지 않으므로 기억공간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물리적으로 연속된 공간에 저장되므로 접근 속도가 빠르다 어떠한 기억 매체에서도 실현 가능하다 단점 파일에 새로운 레코드를 삽입하거나 삭제하는 경우 파일 전체를 복사한 후 수행해야 하므로 시간이 많이 걸린다. 파일의 특정 레코드를 검색하려면 순차적으로 모든 파일을 비교하면서 검색해야 하므로 검색 효율이 낮다. 직접 파일(Direct File) 파일을 구성하는 레코드를 임의의 물리적 저장공간에 기록하는 것으로, 직접 접근 방식(DAM; Direct Access Method)이라고도 한다. 레코드의 특정 기준으로 키가 할당되며, 해싱 함수(Hashing Function) 를 이용하여 키에 대한 보조기억장치의 물리적 상대 레코드 주소를 계산한 후 해당하는 주소에 레코드를 저장한다. 레코드는 해싱 함수에 의해 계산된 물리적 주소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입의 접근이 가능한 자기 디스크나 자기 드럼에 사용한다. 장점 직접 접근 기억장치(DASD)의 물리적 주소를 통하여 파일의 각 레코드에 직접 접근하거나 기록할 수 있으며, 접근 및 기록의 ...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