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구조] 스택, 큐, 덱

[자료구조] 스택, 큐, 덱

  • 자료구조에는 스택(stack), 큐(Queue), 덱(Deque)등이 있다.
  • 메모리의 영역을 어떻게 처리하느냐의 기준으로 나눔


스택(Stack)

  • 먼저 들어간 자료가 나중에 나옴
  • 시스템 해킹에서 버퍼오버플로우 취약점을 이용한 공격을 할 때 스택 메모리의 영역에서 함
  • LIFO(Last In First Out) 구조
  • 깊이 우선 탐색(DFS)에서 사용한다.
  • 재귀적(Recursion) 함수를 호출 할 때 사용한다.
  • 인터럽트처리, 수식의 계산, 서브루틴의 복귀 번지 저장 등에 쓰임



큐(Queue)

  • 위의 자료 구조가 큐
  • 스택과 반대로 먼저 들어간 자료가 먼저 나오는 구조
  • 큐는 한 쪽 끝은 프런트(front)로 정하여 삭제 연산만 수행함
    • 가장 먼저 큐에 들어온 첫번째 원소
  • 다른 한 쪽 끝은 리어(rear)로 정하여 삽입 연산만 수행함
    • 큐에 가장 늦게 들어온 마지막 원소
  • 컴퓨터 버퍼에서 주로 사용, 마구 입력이 되었으나 처리를 하지 못할 때, 버퍼(큐)를 만들어 대기 시킴

일반적인 큐의 단점

  • 큐에 빈 메모리가 남아 있어도 꽉 차있는것으로 판단할 수 있음(rear가 배열의 끝에 도달했을 경우)
    • -> 개선된 원형 큐가 나옴
  • 원형큐의 단점 : 메모리 공간은 잘 활용하나 배열로 구현되어 있기 때문에 큐의 크기가 제한되는 단점
    • -> 개선된 Linked list queue가 나옴
    • 큐의 크기가 제한이 없고 삽입, 삭제가 편리함



덱(deque)


  • Double Ended Queue
  • 자료의 입력과 출력을 양 쪽 끝에서 가능하게 해서 스텍과 큐에 비해여 자유도가 높은  자료구조
    • 크롤(scroll) : 입력이 한쪽 끝으로만 가능하도록 제한한 덱
    • 셀프(Shelf) : 출력이 한쪽 끝으로만 가능하도록 제한한 덱
  • 그러나 실제로 양쪽의 입력과 출력을 모두 사용하는 경우는 없다.
  • 보통 두가지 이유중 하나로 사용하게 됨. (입력과 출력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많이 사용)
    • 큐를 구현했는데 양쪽에서 출력할 수 있어야하거나
    • 스택을 구현했는데 양쪽에서 입력하고 싶은경우

덱의 용도

  • 보통 스케줄링을 사용하게 됨
    • 스케줄링이 복잡해질수록 스택보다 이 더 효율이 잘 나오는 경우가 있음
  • 우선순위를 조절하게 될 때 
    • ex) 옛날에 있던걸 우선순위를 높이기 위해서는 앞에서 빼낼수 있어야 되는데 스택에서는 불가능함
    • ex) 최근에 들어온걸 우선순위를주고 싶은데 이 역시 큐의 구조에서는 불가능함
    • 결국 앞뒤로 다 인출이 가능한 덱(Deque)만이 이 조건을 충족시킴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소프트웨어공학] NS(Nassi-Schneiderman) 차트

[컴퓨터네트워크] Telnet이란?

[Python] # -*- coding: utf-8 -*-를 쓰는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