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네트워크] 외부 IP & 내부 IP & IP Class

[컴퓨터네트워크] 외부 IP & 내부 IP

공인 IP

  • 인터넷 상에서 서로 다른 PC끼리 통신하기 위해 필요한 IP
    • 홈페이지 서버를 구축한다던지 각자의 PC에 인터넷을 연결한다던지 등의 인터넷을 통한 통신을 하기 위한 IP
  • 공인이 되었다는것은 전세계에서 유일하게 하나를 갖게 된다는 뜻
    • 즉, 다른 사람들이 그 주소를 가지고 자기를 찾아올 수 있음



사설 IP

  • 어떠한 네트워크(Network)안에서 사용되는 주소를 뜻함
    • 내부적으로 사용되는 고유한 주소
  • 주변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예는 공유기를 활용한 망구성
  • 공인IP는 전세계에서 유일하지만, 사설 IP는 하나의 네트워크 안에서 유일함
  • 즉, 공인 IP를 가지고 있으면 내부든 외부든 해당 IP를 찾아낼 수 있지만, 
    • 사설 IP는 외부에서는 찾지 못하고 내부에서만 찾을 수 있음


왜 공인 IP, 사설 IP를 나눌까?

  • 지금 널리 사용하는 IP V4의 주소 체계에서는 고유한 주소로 인식할 수 있는 주소의 한계가 있음
    • 그래서 점점 IP V6로 천천히 변해가는 중

+plus 고정아이피, 유동아이피

  • 전체 IP목록에서 직접 지정해서 사용할지 자동으로 아이피를 설정해서 사용할지를 구분하는 것
    • 고정 IP : 컴퓨터에 고정적으로 부여된 IP로 한번 부여되면 IP를 반납하기 전까지는 다른 장비에 부여할 수 없는 IP주소
    • 유동 IP : 장비에 고정적으로 IP를 부여하지 않고 컴퓨터를 사용할 때 남아 있는 IP중에서 돌아가면서 부여하는 IP


결론적으로 인터넷 상에서 서버를 운영하고자 할 때는 공인 IP를 고정 IP로 부여해야함
  • 공인 IP를 부여받지 못하면 다른 사람이 내 서버에 접속할 수가 없음
  • 고정 IP를 부여하지 않으면 내서버가 아닌 다른 사람의 서버로 접속이 될수도 있음


반면에, 우리가 집에서 사용하는 인터넷 서비스 업체는 각 가정마다 공인 IP를 유동 IP로 부여하고, 공유기 내부에서는 사설 IP를 유동 IP로 부여하는것이 일반적




IP Class 개념

IP Class의 경우 A, B, C, D, E Class로 나누어 Network(외부) ID와 Host(내부) ID를 구분하게 됩니다.

A class의 경우 처음 8bit(1byte)가 Network ID이며, 나머지 24bit(3byte)가 Host ID로 사용됩니다.
비트가 0으로 시작하기에 네트워크 할당은 0~127입니다. 즉, 128곳에 가능하며 최대 호스트 수는 16,777,214개입니다.

B class의 경우 처음 16bit(2byte)가 Network ID이며, 나머지 24bit(2byte)가 Host ID로 사용됩니다. 비트가 10으로 시작하기에 네트워크 할당은 16,384곳에 가능하며, 최대 호스트 수는 65,534개 입니다.

C class의 경우 처음 24bit(3byte)가 Network ID이며, 나머지 8bit(1byte)가 Host ID로 사용됩니다. 비트가 110으로 시작하기에 네트워크 할당은 2,097,152곳에 가능하며, 최대 호스트 수는 254개 입니다.

그럼 D class와 E Class에 대해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실제 Network에서 사용되는 Class는 A, B, C Class이며, D Class는 Multicast(멀티캐스트), E Class는 미래에 사용하기 위해 남겨둔 것으로 예약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D와 E Class의 경우 실제 사용되는 경우가 거의 없습니다.





출처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소프트웨어공학] NS(Nassi-Schneiderman) 차트

[운영체제] 파일의 구조(순차 파일, 직접 파일, 색인 순차 파일)

[운영체제] MLQ & MF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