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네트워크] 802.11 무선랜의 액세스 제어 방식(DCF & PCF)

[컴퓨터네트워크] 802.11 무선랜의 액세스 제어 방식(DCF & PCF)


IEEE 802.11 무선 랜에는, 동일한 무선 채널을 복수의 단말에서 공유하기 위한 액세스 제어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802.11 무선 랜에서는, 액세스 제어 기능으로써 CSMA/CA가 채용되고 있다.
802.11 무선 랜의 기본 액세스 순서로써 이용되고 있는 DCF에는, 각국의 채널 사용 상황을 검사해서 자율적으로 패킷의 송신 타이밍을 결정하지만, 이 때 액세스 제어 프로토콜에 CSMA/CA를 사용하고 있다.


DCF

DCF(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
경합 서비스
각 기지국이 자율적으로 송신 타이밍을 결정하는 액세스 제어 방식 
동등한 우선순위 경쟁 방식
-> CSMA/CA에서 사용하는 방식
스테이션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 충돌을 회피하기 위해서 미리 감지후 대기 한다.
=스테이션에서 제어

PCF 

PCF(Point Coordination Function)
비경합 서비스
기지국이 모든 송신을 집중적으로 제어하는 액세스 제어 방식
우선순위 경쟁방식 (무경쟁)
AP(Access Point)에서 직접 스테이션들에게 물어보고 대기 시킨다.
=AP에서 제어

기지국이 하위의 단말국에 대해 차례대로 폴링을 실행하기 때문에, 단말국이 송신하는 패킷간에 충돌은 발생하지 않는다.



출처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소프트웨어공학] NS(Nassi-Schneiderman) 차트

[운영체제] 파일의 구조(순차 파일, 직접 파일, 색인 순차 파일)

[운영체제] MLQ & MF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