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네트워크] 데이터통신망(회선교환, 메시지교환, 패킷교환방식)

[컴퓨터네트워크] 데이터통신망(회선교환, 메시지교환, 패킷교환방식)

개요

  • 교환이란 필요할 때만 단말장치와 단말장치간의 통신로를 확보하여 통신망 전체의 효율화를 이룩하는 것
  • 교환망에는 전화교환망, 패킷교환망, 회선교환망, 종합정보통신망 등이 있다
  • 데이터통신용 교환방식에는 비저장방식인 회선 교환방식과 저장방식인 메시지 교환방식, 패킷 교환방식이 있다.



회선 교환방식

정의

  • 송수신 단말장치 상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마다 통신경로를 설정하여 데이터를 교환하는 방식
  • 시분할 교환기술을 이용한 교환망의 고속고품질화
  • 회선 교환방식은 통화로 동작에 의해 공간분할방식과 시분할방식으로 구분

동작원리 및 특징

  • 회선교환은 회선의 설정, 데이터의 이동, 회선의 단절 등 3가지로 이루어짐.
  • 데이터가 전송되기전에 두 단말장치간에 회선을 설정하고, 회선이 설정되면 이 회선을 통해서 데이터를 전송하며, 일정시간이 지나면 두 단말장치 중 한 단말장치에 의해 연결이 단절 됨
  • 이 방식은 통신할 때마다 매번 통신 경로를 설정하기 때문에 통신중에 전송제어절차, 정보의 형식 등에 제약을 받지 않아, 비교적 원거리 통신에 적합한 방식

단점

  • 통신하는 양측의 시스템이 동시에 데이터 교환 준비가 되어있어야 함
  • 접속이 되어 있는 동안은 두 시스템간의 통신회선이 독점되어 있음

장점

  • 통신경로 접속시간이 매우 짧아 1초 이내임
  • 통신 중 전송제어 절차 정보의 형식에 제약을 받지 않음
  • 비교적 길이가 길고 통신밀도가 높은 데이터통신에 유리함


메시지 교환방식

정의

  • 축적교환방식으로 데이터의 논리적 단위인 메시지를 교환하는 방식
  • 메시지 교환은 교환기가 일단 호출자의 메시지를 받았다가 피호출자에게 보내주는 방식

동작원리 및 특징

  • 메시지 교환은 교환기가 일단 호출자의 메시지를 받았다가 피호출자에게 보내주는 방식으로 입력회선에서 메시지를 받아 기억장치에 저장한 후 메시지 처리 프로그램은 메시지와 그 주소를 확인한 후 출력회선을 결정한다.
    사용이 가능하면 그 메시지는 프로토콜에 의해 출력회선으로 전송함
  • 메시지 교환은 데이터의 논리적 단위를 교환하는 방식으로 디지털 교환에 적합한 방식이나 일방적인 메시지 전달이 주목적이기 때문에 응답시간이 빠른 데이터 전송에는 부적합함.

장점

  • 회선 효율의 증대
  • 비동기 전송 가능
    • 전송 도중 오류 발생시 메모리에 축적되어 있는 복사본 재전송 가능
  • 연결 설정 불필요
  • 메시지 우선 순위에 따른 처리
  • 속도와 표현 형식의 차이 극복
  • 다중 전달 용이

단점

  • 실시간 전송이나 응답시간이 빠른 데이터 전송에는 부적합
  • 네트워크를 통한 지연은 상대적으로 매우 길다
  • 음성신호 전송에는 사용할 수 없음
  • 송신 데이터 순서와 수신 데이터 순서 불 일치
  • 각 메시지마다 수신 주소를 붙여서 전송



패킷 교환방식

정의

  • 패킷교환이란 일정한 데이터 블럭인 패킷을 교환기가 수신측 주소에 따라 적당한 통신경로를 선택하여 전송하는 교환방식
  • 전송하고자 하는 정보를 일정한 크기의 데이터로 분할한 후, 송수신 주소인 헤더를 각각에 부가한 패킷단위로 전송하는 방식

동작 원리 및 특징

  • 패킷교환방식은 축적교환방식의 일종으로 송신 DTE가 보낸 데이터를 교환기에 저장한 다음 수신 DTE에 고속 전송하는 것
  • 패킷 전송을 하기 위해서 단말기가 메시지를 패킷으로 분해하고 수신된 패킷들을 하나의 메시지로 합치는 기능을 지녀야 하며, 만약 이 기능이 없다면 PAD라는 부가장치가 있어야 함
  • 패킷 교환방식에는 데이터그램(연결 경로를 설정하지 않고 패킷들을 순서에 상관없이 전송)과 가상 회선방식(패킷이 전송되지 전에 논리적인 연결 설정이 있어야 함)이 있음
    • 패킷교환은 경로설정, 트래픽제어, 에러제어 기능을 지님
      • 경로설정 : 발신지와 목적지가 직접 연결되지 않으므로 각 패킷을 네트워크를 통해서 노드로 보내는 기능
      • 트래픽 제어 : 네트워크에 전송되어지는 트래픽의 양을 효율적이고 안정하게 하기 위해서 통제하는 기능
      • 에러 제어 : 네트워크에서 유실되는 패킷에 대해 제어하는 기능

장점

  • 우회기능 보유로 신뢰성이 매우 높음
  • 에러발생시 한 패킷만 복구하면 되므로 고품질 확보
  • 회선 다중화로 효율증가 및 경제성 향상
  • 교환기에 축적 전송으로 변환처리 가능
  • 부가서비스 제공 가능

단점

  • 축적 전송방식에 따른 전송이 다소 지연
  • 데이터 단위의 길이가 제한됨
  • 패킷이 파일화 되지 않음
  • 메시지 교환방식과 비교하여 성능면에서 뛰어난 것은 아님


출처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소프트웨어공학] NS(Nassi-Schneiderman) 차트

[운영체제] 파일의 구조(순차 파일, 직접 파일, 색인 순차 파일)

[운영체제] MLQ & MF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