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네트워크] 회선 교환 방식 & 축적 교환 방식

[컴퓨터네트워크] 회선 교환 방식 & 축적 교환 방식



회선 교환(Circuit Switching) 방식

ex) 전화
교환기 내부에 존재하는 교환 회로들의 연결 작업을 통해 수신 측에게 데이터를 전송한다.

회선 교환 방식의 특징

  • 교환 회로를 이용한다.
  • 공중전화망(PSTN)은 회선 교환 방식이다.
  • 데이터의 변환(트랜잭션)이 가능하지 않다.
  • 서로 다른 기종 간의 통신이 안 된다.
  • 경로 확보(Call 성립, 확립과 단절)가 필요하다.
  • 호출자와 피호출자와 동시에 운영 상태에 있어야한다.
  • 전파지연이 가장 짧아 제이터 전달 속도가 빠르다.
  • 연결만 되면 실시간 통신이 가능하다.
  • 대량 데이터 전송에 적합하다.
  • 속도가 항상 일정한 고정 대역폭을 사용한다.
  • 전송에 필요한 시간을 고려할 때 전송 시간이 가장 긴 방식이다.
    • 연결만 되면 가장 빠르지만, 연결 할 때까지 시간이 오래 걸린다.
  • 코드와 속도가 다른 단말기간에는 통신이 불가능하다.
  • 통신 회선을 독점하므로 통신비용이 비싸다.
  • 동일한 물리적 경로를 따른다.


축적 교환 방식(Store and forward Switching) 방식

ex) E-mail
전달되는 데이터가 축적 교환기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후 전달되기 때문에 저장시에 데이터의 변환(트랜잭션)을 시킬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변환 기능은 기종이 다른 어떠한 통신 장비와도 통신이 되서 인터넷이 가능한 이유이다.

축적 교환 방식의 특징

  • 기억장치를 사용한다.
  • 공중데이터망(PSDN)은 축적 교환 방식이다.
  • 데이터의 변환(트랜잭션)이 가능하다.
  • 서로 다른 이기종의 통신이 가능하다.
  • 경로 확보(Call 성립, 확립과 단절)가 필요 없다.
  • 호출자와 피호출자가 동시에 운영 상태에 있지 않아도 된다.
  • 데이터 전달 속도가 느리다.
  • 실시간 통신이 안 된다.
  • 소량 데이터 전송에 적합하다.
  • 속도가 일정하지 않은 가변 대역폭을 사용한다.
    • 속도가 일정하지 않다.
  • 코드와 속도가 다른 단말기간에도 통신이 가능하다.
  • 통신 회선을 공유하므로 통신비용이 저렴하다.
  • 데이터 전송량이 폭주하는 혼란을 피할 수 있다.
  • 같은 내용의 메시지를 여러 곳에 전송할 수 있다.
  • 데이터의 손신을 막기 위하여 부가적인 내용(번호, 날짜, 시간 등)을 추가할 수 있다.


출처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Python] # -*- coding: utf-8 -*-를 쓰는 이유

[소프트웨어공학] NS(Nassi-Schneiderman) 차트

[컴퓨터네트워크] Telnet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