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네트워크] VLAN이란?

[컴퓨터네트워크] VLAN이란?

개념

VLAN이란 Virtual Local Area Network의 약자로 물리적 배치와 상관없이 논리적으로 LAN을 구성할 수 있는 기술이다
Frame이 같은 VLAN끼리만 연동이 가능
예를 들어, 집에 2개의 스위치가 있고 2개의 스위치가 각각의 컴퓨터들을 연결했다고 하자.
이 2개의 스위치는 서로 연결되지 않았다고하자.
그럼 2개의 스위치의 컴퓨터들은 서로 통신할 방법이 없다.
이것이 물리적 lan환경이다. 물리적으로 서로를 떨어뜨려 독립적인 네트워크를 구성한 것이다.

VLAN은 이런 물리적 네트워크 구성이 아닌 논리적 네트워크 구성을 가능케한다. 하나의 스위치가 있고 이 스위치에는 포트가 1~10까지 있다고 하자. 1~5를 VLAN 1로 6~10을 VLAN 2로 설정했다면 물리적으로 같은 스위치에 존재해도 VLAN 1과 VLAN 2는 서로 통신하지 못한다.

스위치의 모든 인터페이스는 동일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에 포함되어 있으나 VALN을 적용할 경우 스위치의 일부 인터페이스를 하나의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으로 구성하고, 다른 인터페이스를 또 다른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으로 구성하여 여러 개의 도메인을 만들 수 있다.
이렇게 스위치에 의해 논리적으로 만들어진 브로드 캐스트 도메인을 VLAN이라고 합니다.


VLAN의 종류

  1. Port 기반 VLAN
  2. MAC 기반 VLAN
    • MAC주소를 사용해 가상으로 LAN을 묶는 방법
  3. 네트워크 주소 기반 VLAN
    • 3계층 IP주소에 의해 구성
  4. 프로토콜 기반 VLAN
    • 응용프로그램별 가상랜 구성
  5. 멀티캐스트 IP 기반 VLAN
  6. 위의 방식들을 조합해서 만드는 VLAN


외부 VLAN

VLAN1과 VLAN2가 통신을 하려할때는 라우팅 작업이 필요하다.
서로 다른 VLAN 간의 통신은 오직 Router를 통해서만 가능하다. 논리적으로 VLAN 설정을 하면, 같은 Network 대역을 사용하더라도, 서로 다른 네트워크가 되는 것이다.

라우터와 스위치를 연결시키고 라우터의 인터페이스를 논리적으로 분할하여 각각 VLAN 1 / VLAN 2 / VLAN 3 에 할당한다. 이처럼 하나의 물리적인 인터페이스를 여러개의 VLAN에 소속시키는 것을 트렁킹(Trunking)이라고 하며, 해당 포트를 트렁크(Trunk)라고 한다.


출처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소프트웨어공학] NS(Nassi-Schneiderman) 차트

[운영체제] 파일의 구조(순차 파일, 직접 파일, 색인 순차 파일)

[운영체제] MLQ & MFQ